좋은 쌀 고르기 위한 8가지 팁!!
"햅쌀밥이라고 다 맛있을까?"
추석이 지나고 들녘에 나가 보셨어요?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을 거치면서 누렇게 익은 벼들이 하나 둘씩 고개를 숙이고 있더라고요.
벌써 추수를 끝냈다는 곳의 소식도 들려옵니다.
< 가을의 상징인 푸른 하늘, 황금 들녘 그리고 코스모스 물결>
흔히들 한국 사람은 ‘밥심’으로 산다고 하잖아요.
그런데 중국에서 전파되어 우리나라에서 벼농사를 시작한지가 4,000년이나 지났다는 사실 아셨어요?
올해 개천절이 4,339주년 이였으니, 단군 할아버지가 우리나라를 세운지 얼마 되지 않아 벼가 재배 되었다는 거죠.
이렇게 보니 한반도에서 벼농사의 역사도 참 오래되었네요. @@;
<하나 둘씩 고개를 숙이며 익어가는 겸손한 우리 벼. *^^*>
가족을 위해 좋은 쌀을 골라 맛있는 밥을 지으려는 건 모든 주부님들의 공통된 희망사항일 거예요.
그런데 막상 시장이나 마트에 가면 어떤 쌀이 좋은 건지 좀처럼 알기가 힘드시죠?
좋은 쌀 고르기 위해서는 딱 8가지만 꼼꼼하게 살펴보세요.
첫째, 도정도 - 도정한지 오래되지 않은 쌀
둘째, 색깔 - 맑고 윤기가 있는 쌀
셋째, 모양 - 쌀알의 모양 및 굵기가 균일한 쌀
넷째, 충실도, 균질도 - 쌀알이 잘 여물고 고르며 전부 또는 일부에 백색이 없는 쌀
다섯째, 수분 - 16% 내외로 적당히 건조된 쌀
여섯째, 이화학적 성분 - 아밀로스 함량 17~20%, 단백질 함량 7%이하
일곱째, 냄새 - 쌀 고유의 향기로운 냄새가 나는 쌀
여덟째, 이물질 - 금이 가거나 부서지지 않은 쌀, 이물질이 없는 쌀
읽어보면 다 아는 내용 같은데, 막상 좋은 쌀을 고르기가 쉽지 않다고요?
그럼 거꾸로 안 좋은 쌀을 사진으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금간 쌀
둘째, 덜 깎인 쌀
셋째, 많이 깎인 쌀
넷째, 깎인 상태가 불균한 쌀
다섯째, 연미가 불량한 쌀
여섯째, 분상질립이 많은 쌀
일곱째, 피해립이 많은 쌀
여덟째, 변질된 쌀
그럼, 품질 좋은 우리 쌀을 한번 살펴볼까요? 짜잔!!!
위에 보이는 쌀이 최고 품질의 우리 쌀인데요.
또 요즘에는 수입쌀도 시중에서 쉽게 보이죠?
이제 어떤 쌀이 좋은 쌀이고 그렇지 않은지 확실히 아셨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