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생로병사와 체질분석(2)-체질분석(체질진단)의 종류

코매트 2007. 10. 16. 20:32
 

● 선천적 체질분석


 타고날 때의 선천적인 체질을 분석하는 것으로 인간의 우주의 일원으로 출발하여 음양오행에 따라 인간은 살아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오행의 상극과 건강과 체질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선천적 체질을 우선적으로 파악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초적인 데이터와 자료를 기본으로 할 수 없는 시스템에서는 모든 것들이 가상의 논리에 의해서 밖에 설명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체계적인 이론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 유전적 체질분석


 인간은 부모로부터 이어받은 유전적 체질을 가지고 태어나게 된다. 대부분이 과학적으로 증명되어가고 있는 상태이기는 하나, 현대의학으로도 풀리지 않는 것들이 많이 있다. 부모가 고혈압이라고 한다면 자식에게도 고혈압을 가지는 체질을 이어주기도 하고, 부모가 질병을 가지게 되면 자식에게도 동일한 질병을 가지고 태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그동안 과학적으로 증명되어 왔다. 이러한 유전적 체질도 함께 고려하지 않는다면 정확한 체질분석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며, 이를 뒷받침 할 충분한 자료를 검토하여 체질을 고려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체질들은 그동안 살아오면서 많은 것으로 느끼게 될 것이고, 그런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본인들이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다.

● 식생활 체질분석


 체질 중에서 많은 부문들이 식생활과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인지된 사실이다. 그렇다면 수십 년 동안 식생활의 결과로 인하여 파생된 체질의 변화를 관찰하고 변화된 체질을 균형 있게 유지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한 일이다. 이러기 위해서는 식생활과 관련 체질분석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보다 심층적인 체질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엔 틀림없다.


● 환경적 체질분석


 외부 환경적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나이 들면 자연히 체질의 변화나 장기의 노쇠화로 인하여 많은 변화를 유발하게 되고, 질병을 일으키게 되는 경우도 있다. 나이는 인간에게 있어 어쩔 수 없는 자연의 법칙이기 때문에, 인간의 생로병사와 직접 관련된 사항이기도 하다. 또한 생활 중의 스트레스나 약물, 노동에 대한 체질변화 등 다양한 요인들이 파생되지만, 노령화되어가면서 모든 것들이 체질변화와 연계되어 일어나기 때문에, 많은 부문들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이 체질은 어느 한가지의 이론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에 따라서 체질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소위 “당신은 ○○○ 체질입니다.” 라고 한다는 것은 아주 위험한 조언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체질이라는 것은 약을 제조하거나 식을 가공할 때 참고 자료로서 활용되는 것이지, 그 체질이 질병을 고쳐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체질이라는 것은 몸의 균형과 5장6부의 유지시켜 건강을 유지시키는 방법이지 질병을 치료하거나 의술을 사용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주 잘못된 편견일 수밖에 없다. 만약 “당신은 ○○○체질입니다.” 라고 한다면 여기에 무슨 의술이 포함되고, 치료가 가미되고, 처방이 필요할 것인가? 모두가 편견과 아집에 의해 움직이고 있는 상황이라고 밖에 볼 수 없는 것들

출처 : 숲속의 오솔길의 블로그
글쓴이 : 숲속의 오솔길 원글보기
메모 :